아날로그케이블을 HDMI모니터에 연결하기


부제: 구작 게임을 HDMI모니터로 즐겨보자




1. 게임기을 보유한 경우


예전에 나온 가전기기에서 S-video이거나 컴포넌트케이블을  모니터의 hdmi단자에 연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또한 게임을 하면서 게임기의 케이블과 모니터의 단자가 틀려 연결을 못시키는 경우가 있다면?!

즉 PS2의 케이블은 S-video의 케이블인데 모니터의 단자는 hdmi인 경우엔 연결잭이 안맞아서 꼽을수없다.


예를 들면 PS2의 케이블은 S-video의 케이블인데 모니터의 단자는 hdmi인 경우엔 연결잭이 안맞아서 꼽을수없다.

만약 젠더를 구했다고 가정하여 꼽는다고 해도 신호는 잡히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물리적으로 연결을 해봐야 S-video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hdmi은 디지털신호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을 살펴보고 아날로그신호인지 디지털신호인지 따져

야 한다.





젠더는 아날로그와 아날로그를 연결하거나 디지털을 디지털로 연결하면 가능하다. 또한 입력이 디지털이고 출력이 아날로그일 경우 일부 가능하다.  하지만 반대로 입력이 아날로그인데 출력이 디지털일 경우 신호가 잡히지 않는다. 즉 이런경우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컨버터로만 가능하다는 애기이다. 예를 들면 입력이 Hdmi이고 출력이 RCA이면 젠더용 케이블을 쓸수있지만 반대로 입력이 RAC인데 출력이 hdmi이면 컨버터밖에 없다.  여기서 젠더는 전원이 필요없이 그냥 케이블을 꼽으면 되지만 컨버터는 전원을 공급하는 어덥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게임기기을 모니터에 연결할때 S-video을 빼버리고 RCA만 꼽는다면 화질이 별로이므로 왠만하면 s-video가 달려있는 컨버터을 사야한다.



참고로 컨버터가 젠더용케이블보다 비싸다. 젠더는 국내와 해외가 가격이 비슷해 국내에서 사면 되지만 컨버터는 해외의 가격이 휠씬 싼 편이라 해외에 사는 것이 좋다. 해외쇼핑몰인 ebay나 aliexpress나 play-asia에서 구매하면 싸게 살수 있다. 단 배송기간이 매우 길다.


키워드는 S-Video to HDMI이다.

여기서 to는 앞이 입력, 뒤가 출력이다. 예를 들어 hdmi to S-video이면 입력이 hdmi이고 출력이 S-video이고 S-video to hdmi이면 입력이 S-video이고 출력이 hdmi이다.  


그래서 게임기을 HDMI모니터에 연결할려면 S-video to hdmi가 되는 Converter을 구해야한다.

s-video 인풋

HDMI 아웃풋


반대로 된것은 절대 사면 안된다.

예를들어 이런거

s-video 아웃풋

HDMI 인풋


https://www.aliexpress.com/wholesale?catId=0&initiative_id=SB_20190122222434&SearchText=S-Video+to+HDMI+









좀더 좋은 화질을 원한다면 PS2 컨포넌트케이블을 구매한후 Component to HDMI 컨버터을 쓰는 것이 좋다.
ps2 Component 케이블

컨버터







컨버터을 사면 부속품으로 어덥터를 주는데 어덥터는 자동으로 변압하므로 그냥 꼽으면 된다.
하지만 플러그 규격이 틀려서 신경을 쓰야하는데 일단 옵션에서 EU플러그을 선택한다.
다른 플로그는 모양이 틀려서 꼽을수없기 때문이다.
단 EU플러그는 구경이 작아서 헐렁헐렁한데 이때 220v 플로그을 끼우면 된다. 



한국의 표준 220V플로그, 링크에서 선택1번을 꼽으면 해결





케이블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를 참고하자.







2. 게임기가 없는 경우 

게임기는 없는 대신 고성능의 그래픽카드을 가지고 있는 경우 에뮬을 돌리는 것도 좋다.
에뮬은 다음것을 추천함. 단 바이오스와 게임은 스스로 구해보길.
우리에겐 구글신이 있으니 어렵지 않을것임.

소울엣지 ps1
ePSXe 2.05버전
Pcsxr
ePSXe과 Pcsxr중에 하나을 선택하면 되는데 
귀잖으면 ePSXe을, 성능을 택할려면 Pcsxr임

소울칼리버1 드림캐스트
nullDC-r150 KOR

소울칼리버2,3 PS2 
PCSX2 1.4.0

소울칼리버4,5 PS3 
rpcs3
5탄이 사운드가 가끔 끓기는데 해볼한 함.


케이블 종류


 


A. 영상케이블


케이블의 종류는 이미지의 선명함의 좋은 순서로 출력신호를 따져볼때


HDMI = DVI >  D-Sub  > 컴포넌트 > S-VIDEO > 컴포지트 순이다.


 


아날로그수신케이블


 


1. RCA케이블



RCA는 흔히 VTR연결할때 익숙한 단자로 영상/음성(좌)/음성(우)로 보통 연결되며


음성전성의 오디오 RCA 케이블(빨강, 흰색)과 영상전송의  콤포지트 케이블(노랑)로 나누어집니다.


 


 


a. Audio RCA cable 음성케이블 (컴포지트, S비디오, 컴포넌트에 모두 쓰인다) - 빨강색과 흰색만



 


참고 로 빨강과 흰색은 오디오신호의 케이블인데 컴포지트, S비디오, 컴포넌트등에 모두 쓰인다.


요즘엔 Optical로 더 좋은 음성를 뽑아낸다. 옵티컬은 오직 음성신호만 하는데 반해 HDMI는 영상, 음성를 둘다 전송해서 편리성에서 HDMI가 힘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b. 컴포지트 케이블 Composite cable


 


사진에서 노란색 케이블만 컴포지트 케이블이다.


빨강색과 흰색은 음성케이블인 Audio RCA cable이다. AV제품에 기본적으로 채용된 인터페이스다. 색 정보와 밝기 신호를 동시에 혼합해 보여주는 터라 상이한 신호가 섞여 화질이 떨어진다.  X박스나 플레이스테이션 등 게임기는 대부분 컴포지트 단자를 이용한다. 


아날로그 TV때부터 사용했던 단자로 480i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2. S-VIDEO 케이블




 


 


S-Video또는 S-VHS라 불리는 단자로 RCA보다는 나은 영상을 보여준다.


S는 분리(Separate)라는 뜻이다.


컴포지트 단자의 영상신호를 밝기(휘도)와 색신호도 분리, 전송한다.


컴포지트단자에서 나타나는 해상도 저하, 색번짐 등을 억제하며, 아날로그 방식에서 최적의 화질을 제공한다.


DVD플레이어, VCR, 모니터, 앰프 등에서 두루 사용된다.


480p, 480i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3. 컴포넌트 케이블  Component cable



 


콤포지트가 하나의 선에 명암 색상 정보를 모두 전송하는데 비해 콤포넌트는 Y/Sb/Sr로 명암/청색계열/적색계열로 영상정보를 나눠 전송하므로 노이즈가 적어 훨씬 깨끗한 화면을 보여준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을 모두 지원해 고급 AV기기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컴포지트·S비디오와 함께 아날로그 전송방식 시대에 나타난 인터페이스로


1080i, 720p, 480P, 480i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4. VGA 케이블 ( = RGB케이블 = D- Sub케이블)



위가 M 아래가 F


 


RGB케이블 = DSub케이블 = VGA케이블


일반적으로 VGA 케이블로 통용되는 케이블을 말하는 것으로 3열 15핀 DSub단자를 채용하기에 D-Sub케이블 이라고도 한다. 전송신호는 R(적색),G(녹색),B(청색),H(수평),V(수직) 이상 5개의 신호로 분리되어 전송이 되므로 RGB케이블이라고 하며 PC의 모니터에 쓰인다.


PC의 영상은 디지털 데이타지만 아날로그 RGB 인터페이스(VGA 단자)에서는 PC측에서 일단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측에서 다시 디지털에 변환하고 있다. 이것은 손실이 많아 변환시에 화질이 열화해 버린다.


또 아날로그 신호는 노이즈 등에 약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길게하면 화질이 열화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것이 DVI케이블이다.


 







디지털수신케이블


 


 


5. DVI 케이블




 


왼쪽이 DVI-D케이블, 오른쪽이 DVI-I케이블


D-Sub가 아날로그전송방식인데 비해 DVI는 디지털 전송 방식입니다 그중에서도 아날로그 병행 전송여부/링크 방식에 따라 몇가지로 나뉩니다.  DVI-I의 경우 아날로그 정보도 같이 보내며 DVI-D는 디지털 정보만 보냅니다(핀이 약간 다릅니다). 듀얼링크의 경우는 가운데 빈부분이 없습니다(데이터 전송량이 더 많아서 가로 3천픽셀 정도의 높은 해상도의 모니터의 경우 사용합니다)


DVI 는 'Digital Visual Interface' 의 약자로, 주로 PC로 이용되고 있는 디지털 영상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DVI 는 직접 디지털로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이 열화할 걱정은 없다.  여기서 DVI와 HDMI간의 화질차는 없지만 DVI는 오직 영상만 전송한데 비하여 HDMI는 영상과 음성 둘다 전송된다.


 




 


 


 


 


 


 


6. HDMI 케이블



 


올해초부터 디지털TV의 외부입력단자로 도입돼 요즘 나오는 제품은 대부분 지원하는 단자다.


고 화질 화면과 8개의 오디오채널을 지원한다.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AV리시버 등과 연결해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영상과 음향신호를 손실없이 입력받아 재생할 수 있다. 영상과 음향신호를 동시에 전송해주는 최초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하나의 케이블로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TV와 DVD플레이어 등이 모두 HDMI를 지원하면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선명한 화질과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왼쪽이 HDMI(M) 오른쪽이 Mini HDMI(M)입니다


 


 


 


 


그밖의 영상케이블


 


7. 동축케이블(RF안테나 선)



80Ω단자라 하기도 합니다. 영상과 음성, 데이터까지 전송을 해서 안테나나 케이블 방송, 인터넷 용으로 씁니다.  데이터 전송으로 사용시 약 10Mbps의 속도를 냅니다


 


 


 


8. BNC

예전 구형 모니터/그래픽카드에서 쓰곤 했습니다. 요즘은 보기힘들지만 관공서나 빌딩, 군용, CCTV용으로 아직 사용됩니다


 


 


 


9. D단자 케이블 (D端子:일본에만 존재하는 아날로그케이블)




 


3개의 컴포넌트케이블을 모아서 1개의 선으로 정리한게 D단자라 하겠다.


일본의 전자공업협회(EIAJ)에서 제정한 업계통일의 접속단자이며, D1~ D5까지의 규격이 있다.


14핀 짜리이며, 흔히 알고있는 컴포넌트 단자 와 같다. 주로 일본 내수품 TV에 많이 탑재되어있다.


  




 


 


 


 


 


B. 젠더와 컨버터


 


케이블을 쓰면서 한쪽과 다른 쪽의 규격이 틀린 케이블이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은 HDMI인데 반대쪽은 아날로그로 된 케이블을 찾고자 할때을 말한다. 그런데 이런 경우는 아날로그신화와 디지털신호를 따져야 한다. 그리고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도 따져야 한다. 그 이유는 물리적으로 연결을 해봐야 디스플레이가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를 참고하자.

https://eternaloutsider.tistory.com/22?category=830775

 


 


 


1. 젠더용 케이블



 


 


 


2. 컨버터





 


 


C. 음성케이블



 


 


 


 


 


1. Audio RCA cable 음성케이블 (컴포지트, S비디오, 컴포넌트에 모두 쓰인다) - 빨강색과 흰색만



 


 


 


2. Stereo



흔히 PC 스피커/이어폰 등에 쓰이는 스테레오 단자입니다 왼쪽이 M오른쪽이 F입니다 모노의 경우 두번째 검은색 칸막이가 없습니다.


 


 


 


3. 코액셜(동축) Coaxial



음향단자로 생김새는 RCA와 거의 같지만 규격은 다릅니다(음질도 RCA보단 좋습니다)


 


 


 


 


 


4.음향용 광단자(Optical)



음성정보를 광섬유를 통해 전송합니다 단자 크기에 따라 4/5/6/8 Φ등 다양합니다


 


 


 


5. 1/4 TRS케이블 



 


 


 


 


 


6. XLR 케이블


 


 


TRS케이블과 XLR 케이블은 악기나 방송용 음향전문기기에 쓰이는 케이블입니다.


 


 


 


 


 


 


 


D. 데이터케이블 


 


 


 1. USB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오 있는 USB입니다(하지만 실제론 USB케이블의 규격은 5핀,8핀A,B,O, 24핀 등 다양합니다)


1.1/2.0이 자주 쓰이며 최근엔 2.0이 대부분입니다


1.1은 Full Speed USB라 불리며 12Mbps(초당 1.5MB)의 속도를 가집니다


2.0은 Hi Speed USB로 480Mbps(초당 60MB)의 속도를 가집니다


 


좌측의 직사각형이 A타입 Male(Male은 돌출되어 있어 구멍으로 들어가는 단자를 말합니다 반대로 구멍이 있는 단자는 Female이 됩니다)단자이고 가장 많이 쓰이는 단자입니다


왼쪽의 한쪽변이 깍인 정사각형 모양 단자는 B타입 Male로 보통 일반인들에겐 프린터나 3.5"외장하드에 자주 쓰여 익숙합니다


오른쪽 사진의 경우 왼쪽(단자 안이 검은색 플라스틱)은 2.5"이하의 외장하드나 PMP등으로 자주보이는 단자로 5핀 Mini B타입(Male)이고 단자안이 흰 플라스틱은 Mini A타입입니다


 


 


2. IEEE1394




IEEE1394(Firewire)는 400Mbps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IEEE는 규격협회의 이름)


최근 속도를 두배로 올린 IEEE1394b도 있습니다


한쪽이 깍인 직사각형 모양의 단자(USB A타입단자와 비슷한 크기임)가 6핀 단자이고 작은것이 4핀단자입니다


 


 


3. RJ-45



RJ-45는 흔히 LAN을 연결할때 쓰며 케이블에 따라 속도가 달라집니다 케이블 속도는 주파수 대역대에 따라 카테고리로 나타내며 카테고리5는 100Mbps, 6과 7은 기가비트의 속도를 냅니다


현재 쓰이는 대부분의 케이블은 카테고리 5이며 6/7도 점점 사용이 늘어나긴하나 아직은 실제 속도가 거기에 못미칩니다 피복 포장 방식에 따라 UTP,FTP,STP로 나뉘며 가정에선 대부분 UTP방식입니다


 


 


 


 


4.SATA(Serial-ATA)



역시 하드디스크용 전송방식으로 IDE가 병렬방식으로 데이터 손실로 인한 속도 지연현상을 직렬방식으로 바꿈으로 케이블 수를 줄이고 빠른속도를 구현했습니다 왼쪽이 SATA 오른쪽이 외장하드를 위한 e-SATA입니다 차이는 e-SATA는 외장연결을위해 고정이 쉽도록 되어 있습니다


SATA-I(SATA-150)의 전송속도는 초당 150MB이며 SATA-II(SATA-300)의 경우 초당 300MB입니다(근데 하드속도가 못따라 갑니다 PC용 제일빠른 하드디스크도 80MB/s를 못넘죠...)


 


 


 


 


 


5. IDE(DMA)



예전 하드디스크 데이터 전송용으로 쓰던 규격입니다 전송속도에 따라


ATA(DMA) 33/66/100/133등이 있습니다 초당 전송속도는 숫자에 MB 붙이면 됩니다


 


 


 


 


 


6. 병렬포트(패러렐)



흔히 프린터 포트라 하면 이걸 가리킵니다 핀수는 18핀도 있고 24핀도 있고 36핀도 있습니다만 보통 24핀을 사용합니다 요즘은 USB에 밀려 보기힘듭니다 초당 2~3메가 정도의 속도라 거의 사장되는 분위기입니다


 


 


 


 


 


7. 직렬포트(시리얼)



보통 9핀을 쓰며 옛날 게임기 조이스틱/조이패드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음향기기와 조이스틱일부를 제외하면 요즘은 보기 힘듭니다 조이스틱도 신제품은 거의 USB로 나옵니다 속도가 느려 용도도 제한됩니다


 





 


8. PS/2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할때 쓰입니다 왼쪽이 M, 오른쪽이 F입니다


지금 쓰이는 규격은 작은 것으로 예전엔 이것의 약 2배 크기였습니다


 


 

'하드웨어·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날로그케이블을 HDMI모니터에 연결하기  (0) 2019.01.24

+ Recent posts